메뉴보기
2022.

해양생명자우너 분양 신청 절차 안내

해양미세조류 바이오뱅크 해양미세조류 바이오뱅크
해양미세조류 바이오뱅크

해양생명자우너 분양 신청 절차 안내

분양대상자
기초연구 및 산업화를 연구목적으로 하는 법인, 기업, 학교, 단체 등
신청기간
연중계속 / 무료분양
분양신청방법
1. (온라인) 해양바이오뱅크 홈페이지 (http:www.mbris.kr/biobank/main/index.do) 가입 후 분양신청
2. (오프라인) 분양신청서(홈페이지 다운로드) 작성하여 서명한 후 우편, 이메일을 통해 분양신청
신청방법
조회-신청-검토-승인-분양-조사
신청방법
- 분양신청자는 분양자원을 연구할 시설장비 등을 구축하고 있어야 함
- 분양받은 자원은 제 3자에게 양도 및 재분양 할 수 없음
- 분양받은 자원으로 논문 및 특허출원 시 출처를 기재해야 함
- 분양자원 활용현황 조사에 협조해야 함 상기 사항에 해당되지 않을 시 분양이 제한될 수 있음
분양기준

해양추출물 바이오뱅크

미래성장 가능성이 높은 해양바이오산업은 해양바이오 원천소재에 생명공학기술을 적용하여 각종 제품을 생산하는 산업으로, 원료가 되는 해양바이오 원천소재를 활용한 새로운 바이오소재 개발과 신기술 선점이 전세계적으로 요구되고 있습니다. 해양바이오 원천소재의 가치 창출을 통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해양수산부와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이 협력하여 해양추출물 바이오뱅크가 구축-운영 중에 있습니다. 품질관리경영시스템(ISO 9001:2015) 인증을 획득한 해양추출물 바이오뱅크는 산업화가 가능한 해양바이오 원천소재 발굴과 함께 정보 및 분양 서비스를 제공하여 해양바이오 산업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해양추출물 분양신청 문의

이메일
gustn783@mabik.re.kr
전화번호
041-950-0937

해양추출물 분양신청 문의

해양생물 유래 추출물 제조 기초 생리활성 조사 유용물질 분석 추출물 관리 및 분양
해양 생물 유래 추출물 제조 및 분주 초고속생리활성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기초생리활성 스크리닝
자동화 분리/분석기기를 이용한 유용물질 분석 및 유효성분 분리 분양자원 바코드라벨 및
초저온냉동고 (-80℃) 보관

해양추출물 분양신청 문의

해양추출물 분양신청 문의

해양추출물 분양신청 문의

  • 무척추동물 130종 207점
    돌기해삼, 굵은나선별해면, 큰가리비, 민가죽해변말미잘 등
  • 염생식물 56종 137점
    나문재, 모래지치, 번행초, 순비기나무,
    큰비쑥 등 총 37종 74점 보유
  • 해조류 107종 186점
    괭생이모자반, 넓패, 감태, 참개도박, 패 등
  • 해양미생물 117종 131점
    Bacillus sp.Nocardiopsis sp.
    Streptomyces sanyensis 등
  • 척추동물 46종 80점
    붕장어, 돌돔, 갯장어, 노래미, 쌍동가리 등
  • 미세조류 17종 23점
    Dunaliella salina 등

해양미생물 바이오뱅크

해양미생물은 육상 환경의 미생물과 달리 높은 염분, 수압, 저온 등 특수환경에서 생존을 위한 진회를 거듭해오며 육상 미생물과는 차별화된 다양한 2차 대사산물을 생산합니다. 이로 인해 해양미생들은 천연물 의약품, 화장품, 생리활성물질 개발의 대체 유용소재 로서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중요한 자원입니다. 해양미생물 바이오뱅크는 고부가가치의 잠재력을 지닌 해양미생물을 지속적으로 발굴.확보하고 있으며, 가치평가를 통해 유용성이 검증된 해양미생물과 그 정보를 기업 및 관련 연구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구축되었습니다. 해양미생물 바이오뱅크를 통해 해양수산부와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국내 바이오산업의 해양생물자원 활용을 활성화하고 해양바이오분야의 국가 경쟁력을 높이고자 합니다.

해양추출물 분양신청 문의

이메일
- 세균 jichi9@mabik.re.kr tyu49002@mabik.re.kr - 균류 dwchung@mabik.re.kr woonjoun_yu@mabik.re.kr
전화번호
- 세균 041-950-0965 / 0973 - 균류 041-950-0967 / 0973

해양추출물 분양신청 문의

다양한 해양 시료 채집
해양동·식물, 해수, 해양퇴적토 등
해양미생물 분리 및 배양
호기성, 혐기성, 저온, 호염성 미생물 분리 및 배양
해양미생물 보존 및 관리
글리세롤 스탁 제조 및 바코드 라벨
초저온냉동고(-80℃), 액체질소탱크(-150℃) 보관

해양추출물 분양신청 문의

해양미생물자원 보유현황 (기준일 2022.04. 30.)
- 해양세균 1,677종 6,164주
- 해양균류 230종 342주

해양생물 유전자원 바이오뱅크

해양생물 유전자원 바이오뱅크는 해양생물의 유전자원(조직/핵산)을 체계적으로 확보하여 안정적으로 보존하고 산업적으로나 및 학술적으로 필요한 연구자들에게 무료로 분양하여 해양생물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성 편리 및 활용성 중대를 위하여 구축되었습니다. 확보된 유전자원은 종 동정, 생물학적 특성 확인 등의 기초연구뿐만 아니라 의료, 제약.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등 질병 치료와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할수 있는 산업화 유용소재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해양유전자원 바이오뱅크는 서식지 특이성으로 확보가 어려운 해양생물의 유전자원을 공유함으로써, 연구 소재 확보의 다양성 및 편리성을 제공하고, 해양생물 유래 유용유전자원 발굴을 통하여 해양바이오산업 활성화 증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해양추출물 분양신청 문의

이메일
jywoo1022@mabik.re.kr
전화번호
041-950-0930

유전자원 확보 및 보존관리



  • 다양한 해양생물 시료 채집
    # 확보 생물의 종 동정을 위한 확증표본 제작
    및 바코드 염기서열 분석
  • 조직 / DNA 확보
    # 입고 기준에 따른 품질검사 수행을 통한 고품질의
    유전자원 확보
  • 해양생물 유전자원 보존관리
    # -80°c, -150°c 동결보존

해양생물 유전자원 확보 현황

총 1,771종 6,240점 (기준일 2022.4.30.)



해양추출물 분양신청 문의

해양미세조류 바이오뱅크

해양미세조류 바이오뱅크

미세조류는 현미경적 크기(약 2-200μm)의 단세포 광합성 생물로서 지구 생태계의1차 생산자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현재 10만여 종이 알려져 있습니다. 미세조류 바이오매스는 탄수화물(10%), 지방(30-50%), 단백질(20-40%) 등과 더불어카로테노이드 등의 유용색소를 포함한 고부가 물질 생산에 활용될 수 있고 화장품,건강기능식품, 수질정화, 이산화탄소 저감, 사료 첨가제, 바이오 연료 생산, 농업 등 다양한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해양미세조류 바이오뱅크는 국내 연안의 미세조류 자원을 발굴하여 동정, 최적배양조건(온도, 광도, pH, 염도, 배지 등) 산출, 산업적 유용성 확인 과정(유용물질 함유량 분석)을 거친 후 데이터 베이스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확보된 미세조류 배양체의 안정적인 보존을 위한 정도관리와 더불어 산·학·연 수요에 맞추어 현재 분양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해양미세조류 바이오뱅크

해양추출물 분양신청 문의

이메일
kichul.cho@mabik.re.kr
전화번호
041-950-0969

해양생물 유전자원 확보 현황

  • 녹조식물문 38종 87주(56.1%)
  • 와편모조식물문 11종 38주(24.5%)
  • 돌말식물문 6종 12주(7.7%)
  • 대롱편모조식물문 5종 9주(5.8%)
  • 착편모조식물문 4종 6주(3.9%)
  • 온편모조식물문 1종 2주(1.3%)
  • 기타 1종 1주(0.7%)
  • 총 66종 155점 (기준일 2022.4.30.)

해양추출물 분양신청 문의

다이빙 채집 네트 채집 자원이관 직접채수
해양 생물 유래 추출물 제조 및 분주 초고속생리활성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기초생리활성 스크리닝
자동화 분리/분석기기를 이용한 유용물질 분석 및 유효성분 분리 분양자원 바코드라벨 및
초저온냉동고 (-80℃) 보관

주요 배양 인프라

항온 항습기
(18-20도, 40-60%)
비상알람 시스템 다단식 배양대
(원종 배양)
다실식 배양기
(백업 배양체 보존)
해양미세조류
검경실
크린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