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
2022.

KR 10-2020-0104723
KR 226226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황일선, 디조이사 마하나마, 라차바샤 바디라나게 디누샤 자두랑기, 니카피티야 차말라니 라란티
신청방법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의료용품 및 기타 의약 관련제품 제조업
신청방법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해양추출물 바이오뱅크

- 본 기술은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합성 펩타이드인 옥토프로마이신(Octopromycin) 및 상기 옥토프로마이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임
- 본 기술에 따른 옥토프로마이신 또는 이의 단편은 병원내 감염을 일으키는 다중 약제 내성 세균인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nii)에 대하여, 높은 성장억제 및 바이오필름 형성억제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세포독성이 없어,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감염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


해양추출물 분양신청 문의

- 다중 약제 내성을 가지는 아시네토박터 속 세균에 대하여, 낙지에서 유래한 우수한 향균 활성을 가지는 합성 펩타이드인 옥토프로마이신 및 상기 옥토프로마이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임


해양추출물 바이오뱅크

-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MRAB)은 다중 약제 내성을 가지는 슈퍼박테리아로 일부 스트레인의 경우, 병원시설 및 장비 표면에서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병원에서 원내 감염을 유발하여 임상적으로 가장 중요한 병원균임

-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의 대부분의 균주는 1 세대 및 2 세대 세팔로스포린, 아미노페니실린 및 클로람페니콜과 같은 항생제 종류에 내성이 있어, 콜리스틴, 티지사이클린, 이미페넴, 메로페넴과 같은 항생제들이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감염증에 주로 처방이 되지만 이러한 항생제의 사용은 내성 및 인체 내 부작용이 문제가 되고 있음

- 본기술의 옥토프로마이신은 낙지의 숙주 방어 펩타이드로부터 유래한 항생 펩타이드(Antimicrobial peptides, AMPs)로, 낙지의 전신 전사체에 대한 서열 분석을 통해 개발된 펩타이드임

- 옥토프로마이신은 세포 독성이 없고, 낮은 농도에서도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에 대해 높은 성장억제 및 바이오필름 억제 효과를 보이기 때문에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감염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 가능함



옥토프로마이신 처리에 의한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의 막 투과성과 활성산소 생성 효과

- 옥토프로마이신은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의 세포막에 투과하여 현저한 손상을 일으키며, 활성산소를 생성함으로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하여 균의 생존세포를 감소시킴


해양추출물 분양신청 문의


해양생물 유전자원 바이오뱅크

-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의 전자현미경을 통해 형태를 확인하였을 때 옥토프로마이신을 처리하면 심각한 형태학적 및 초구조적 변화를 유도하였음


해양추출물 분양신청 문의

옥토프로마이신의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에 대한 바이오필름 억제 효과
- 옥토프로마이신은 바이오필름 형성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형성된 바이오필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

해양추출물 분양신청 문의


옥토프로마이신의 독성 평가
- in vitro : HEK293 및 Raw 264.7 세포에서 독성효력 평가결과 MBC 농도 수준에서 독성이 확인되지 않음

- in vivo : 제브라피쉬 배아에서 독성평가를 수행함, 저농도에서는 배아사망률이 없었음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 감염 모델에서의 옥토프로마이신 효력평가
- 제브라피쉬를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으로 감염시킨 뒤에 옥토프로마이신의 효력평가를 진행하였을 때에 생존율을 높이고 감염에 의한 출혈도 방지함을 확인하였음

해양미세조류 바이오뱅크

기술성숙도 4/5 단계
본 기술은 연구실 환경에서 기본성능평가 및 핵심성능평가가 완료된 상태의 기술로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음, 치료제로 사용하기에는 전임상 단계의 실험결과가 필요함

해양미세조류 바이오뱅크

해양미세조류 바이오뱅크

국가 출원번호
(출원일자)
등록번호
(등록일자)
발명의 명칭
KR 10-2021-0053887
(2021.04.26.)
2262261
(2021.06.02.)
낙지 유래 신규한 항균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 PCT/KR/2021/011092
(2021.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