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R 10-2020-169619
- 국립해양생물자원관
- 김현수, 이대성, 이정민, 임미진
- 식료품 제조업, 음료 제조업,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화장품 제조업
- 국립해양생물자원관
- 본 기술은 괭생이 모자반(Sargassum horner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에 관한 것임
- 본 기술에 따른 괭생이 모자반 추출물은 대식세포의 NO 생성을 억제하여 항염 작용을 하는 화합물을 포함하고있어, 활성산소의 과량 축적으로 발병되는 염증 관련 질환에 대한 약학적 조성물, 건강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음
- 괭생이 모자반 추출물에서 분리한 하기 화합물 1, 2 및 3는 대식세포에서 NO 생성을 억제하여 항염작용을 나타냄
- 본 기술은 중국에서 우리나라 해역으로 엄청난 양이 유입되어 자연경관을 훼손하고 어업 양식을 망치는 등 다양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어 바다의 골칫덩이로 여겨지는 괭생이모자반의 새로운 활용 방법을 제시함
- 보통의 해조류는 풍부한 생리 활성을 가지는 다양한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지만 양식을 하지 않으면 상용화하기 위한 충분한 양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음, 하지만 괭생이모자반은 양식을 하지 않아도 대량확보가 용이함
- 대부분의 염증 질환의 치료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제제인 비스테로이드 성 소염제는 위장관 장애, 간장애, 신장애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야기하여 장기간 복용에 제약이 있지만 괭생이모자반은 이미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식품원료로 등록되어 식용이나 사료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만큼 독성 문제가 없음
- 본 기술은 이전에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에서 항산화 기능을 하는 로리오라이드(loliolide, 화합물 1)의 항염효능을 입증하였고, 로리오라이드 이외에 다른 두가지 화합물(화합물 2, 3)을 추가로 분리 동정하여 항염효능을 확인하였음
- 화합물 2 : 3-hydroxy-5,6-epoxy-β-ionone, 화합물 3 : apo-9′-fucoxanthinone
-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에서 분리한 항염효능을 가지는 상기 화합물들은 항염 효과가 있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품에 사용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활성산소의 과량 축적으로 발병되는 염증 관련 질환에 치료효능을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로 활용 가능함
괭생이모자반 추출물 제조 및 항염증 화합물 분리
- 괭생이모자반 분말을 MeOH로 37도에서 추출하고, 용매를 증발시킨 뒤에, n-헥산, 클로로포름 및 아틸아세티이트를 사용하여 분할 추출하였음
- 상기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에서 HPCPC 및 HPLC를 이용하여 apo-9′-fucoxanthinone과 같은 노리소프레노이드를 분리하였고, HPCPC 분획 중에서 2개의 분획(CMSC-B 및 CMSC-D)을 분취하고, prep-HPLC를 사용하여 정제하였음, 그 결과 CMSC-B-a(화합물 1), CMSC-B-b(화합물 2) 및 CMSC-D(화합물 3) 3 종류의 표적 화합물이 확인되었음
- 상기 3 종류의 화합물은 NMR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동정하였음, 화합물의 구조식은 하기 그림 2와 같음(화합물1 : loliolide, 화합물 2 : 3-hydroxy-5,6-epoxy-β-ionone, 화합물 3 : apo-9′-fucoxanthinone)
항염증 화합물의 효능 평가
- RAW264.7 세포에서 독성평가와 LPS에 의해 유도된 염증의 억제 효능평가를 수행하였음
- 상기 그림 2와 같이 모든 화합물이 ~ 50 ug/ml 농도에서 독성을 보이지 않았고, LPS에 의한 NO 억제 효능이 뛰어남을 확인하였음
기술성숙도 4/5 단계
본 기술은 연구실 환경에서 기본성능평가 및 핵심성능평가가 완료된 상태의 기술로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음, 치료제로 사용하기에는 전임상 단계의 실험결과가 필요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