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류 미래의 보고인 해양생물의 다양성 보전과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지난10월 25일 ‘제3회 SOI(Sustainable Ocean Initiative) 세계 해양-수산 국제기구 포럼’이 개최되었다고 한다.
-
-
지난 25일, ’제3회 SOI(Sustainable Ocean Initiative) 세계 해양-수산 국제기구 포럼’이 4일에 걸쳐 진행되었다. 금번 포럼은 ‘서울 선언+2’ 이후 해양생물 다양성 보전과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한 국제사회의 정책 변화와 발전을 논의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이번에 논의된 협력 방안은 올해 12월 개최될 제15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주요의제로 다뤄질 예정이다.
'Post-2020 체제 지역 리더십의 새로운 시대 구축'이란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생물다양성협약(CBD) 사무국이 주최하고, 국립해양생물자원관(관장 최완현)이 주관했다. 해수부를 비롯한 세계식량기구(FAO, Food Agricultural Organization,), 유엔환경계획(UNEP, UN Environment Program), 프랑스생물다양성연구소(OFB·Officie Francais de la Biodiversity)가 공동후원했으며, 생물다양성협약 사무국, 세계식량기구, 유엔환경계획 지역대표를 비롯해 50여 개 지역 해양 및 수산 관리기구 대표들과 국내외 전문가 등 110여 명이 참석했다.
-

-
포럼은 개별 주제 발표와 분과별 그룹 토론으로 진행되었다.
1) 진화하고 있는 글로벌 해양정책 소개
2) 제2회 Glibal Dialogue 미팅(‘18) 이후 활동 사례 및 성과 보고
3) Post-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 체제와 지역협력의 역할 및 기회
4) SOI 글로벌 포럼 목표의 구체적 이행방안 및 후속 조치를 위한 기회 인식
이 외에도 해양수산부는 우리나라의 해양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한 정책 사례를 공유하였다.
1) 해양수산 분야 국제 원조(ODA) 사업 현황 및 계획
2) 해양수산 분야 기후 변화 적응 대책
3) 블루카본 추진 현황 및 국제협력
4) 지역수산기구를 통한 국제어업관리 증진 및 기여(rule-taker에서 rule-maker로 전환)
-
-
해양수산부는 “이번 포럼의 성과와 대한민국의 해양수산 통합행정 경험이 전지구적 해양생물 다양성 제고와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한 국제협력에 기여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출처>
해수부, 제3회 SOI 세계 해양-수산 국제기구 토론회 개최 해양수산부
해수부, '해양-수산 국제기구 토론회'…"해양생물 다양성 보전" 공감언론 뉴시스
인간과 바다, 그 사이의 해양생물학 성대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