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
2022.

KR 10-2019-007262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최그레이스, 이정민, 임미진, 남상집
신청방법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화장품 제조업, 식료품 제조업, 음료 제조업
신청방법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해양추출물 바이오뱅크

- 본 기술은 해수로부터 분리된 스트렙토마이세스 속의 SNC087 균주, 동 균주를 이용한 스타우로스포린의 생산방법, 동 균주의 배양방법 및 동 균주의 순수배양액에 관한 것임
- 본 기술에 따른 SNC087 균주는 스타우로스포린의 생산능이 우수하고 안정적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함

해양추출물 바이오뱅크

- 본 기술은 항암물질인 스타우로스포린의 대량생산기술로, 스타우로스포린의 생산능이 우수한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 속의 균주인 SNC087 균주를 해수로부터 발견하여, SNC087 균주를 이용해 스타우로스포린의 대량생산기술을 개발하였음


해양추출물 바이오뱅크



- 스타우로스포린은 1977년 스트렙토마이세스 스타우로스포러스 균주로부터 처음 분리된 천연물로 향균제에서 항고혈압제에 이르는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을 갖고 있는데 특히, 항암효능이 뛰어나 항암제로 임상을 진행하고 있는 물질임

- 스타우로스포린의 주요 생물학적 활성은 ATP가 키나아제(kinase)에 결합하는 것을 막음으로써 단백질 키나아제 C를 억제하는 역할임

- 스타우로스포린은 1mg당 200만원 이상으로 시약판매업체에서 판매되는 있는 고가의 물질이기 때문에 상용화를 위해서는 스타우로스포린의 안정적인 대량생산 방법이 필요함

- 본 기술은 스타우로스포린의 대량생산 기술로, 해수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 속의 균주인 SNC087 균주를 발견하였고, SNC087 균주의 배양조건을 최적화하여 대량생산 기술을 개발하였음

- streptomyces sp.SNC087 균주를 최적 조건에서 20 L로 배양하였을 때에 1.4 g의 스타우로스포린을 확보할 수 있었음, 기존에 보고된 문헌에 의하면 219820 균주는 20 L 배양시 325.1 mg의 스타우로스포린을 생산한다고 보고되어 있어 SNC087 균주는 기존의 보고된 균주보다 4배 이상의 높은 생산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음



- SNC087 균주의 유전자 분석 결과 219820 균주와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이 99.9%의 상동성을 보였음, 0.01% 유전차 차이가 스타우로스포린의 생산과 관련된 유전자의 활성화 위치에 생긴 변이일 가능성이 높아 이로 인해 SNC087 균주의 스타우로스포린의 생산능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됨

해양생물 유전자원 바이오뱅크

- 본 기술의 SNC087 균주는 부산 기장군 일광해수욕장 인근에서 채취한 해수로부터 분리된 균주로 SYP 고체배지에 배양시 전형적인 스트렙토마이세스 속에 속하는 균주의 형태적 양상이 관찰되었고, 유전자 분석을 통해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균주임을 확인하였음


해양추출물 분양신청 문의


- SNC087 균주를 대량배양조건을 최적화하였고, 생산되는 물질이 스타우로스포린인지 분석하였음
- 균주를 20 L로 대량배양한 뒤 배양액의 조추출물 1.5 g을 수득하였고, 이를 LC-MS 분석을 통해 조추출물 1.5 g 에는 1.4 g의 스타우로스포린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음

해양추출물 분양신청 문의


해양미세조류 바이오뱅크

기술성숙도 4/5 단계
본 기술은 연구실 환경에서 기본성능평가 및 핵심성능평가가 완료된 상태의 기술로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음, 치료제로 사용하기에는 전임상 단계의 실험결과가 필요함

해양미세조류 바이오뱅크

해양추출물 바이오뱅크


해양미세조류 바이오뱅크